약 100년 전 지금의 코로나보다도 훨씬 무서운 질병이 전 세계를 뒤덮고 있었습니다. 그것이 바로 오늘 소개해 드릴 스페인 독감입니다. 스페인 독감이라고 해서 다들 스페인에서 시작된 줄 알지만, 그렇지 않다고 하네요. 그럼 무슨 이유였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페인 독감이 스페인에서 생긴 게 아니라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스페인 독감은 스페인에서 발생한 것이 아닙니다. 스페인 독감이 유행하던 시절은 1918년으로 세계대전이 일어나던 시절이었습니다. 이때 많은 국가들은 전쟁에 참여하고 있어서 독감이 유행하고 있는 줄 모르고 있었습니다.
당시 중립국이었던 스페인에서는 자국에 독감 환자가 유행하는 것을 인지했고, 언론에서 많은 보도를 했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 또한 스페인에서 발생한 줄 알고 스페인 독감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스페인 독감의 발생 원인
스페인 독감의 발생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몇 가지 설이 있는데요. 첫 번째로는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 주둔 미국 부대원들에게서 발병되어 본국에 귀환 후 미국 전역에 확산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미국에서 먼저 발생해서 유럽으로 전파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 세계대전의 참전한 미국 부대원들의 전파설
- 미국 본토에서 먼저 발생되었다는 설
이외에도 다양한 설이 있지만, 미국을 포함한 유럽 전역에서 많은 사망자수를 기록한 스페인 독감이기 때문에 미국이나 유럽에서 발생하였다는 설에 조금 더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스페인 독감의 치명적인 기록
스페인 독감은 1918년부터 약 2년간 유행을 했는데, 감염자 수는 약 5억 명, 사망자 수는 대략 5000만에서 1억 정도로 파악된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당시 전 세계 인구(18억 명)의 최대 5%가 사망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금으로써는 상상이 안 되는 수치입니다. 미국과 유럽에서 전파된 스페인 독감은 일본과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도 전염이 되었습니다.
-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었다.
조선 총독부의 기록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도 스페인 독감의 위기가 찾아온 적이 있습니다. 이때의 기록을 살펴보면 전체 인구 약 760만 명 중 약 290만 명이 독감에 걸렸었고, 14만 명 정도가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지금의 코로나와는 차원이 다른 치명률을 보였는데요. 아무래도 당시의 위생상황과 의료 상황이 좋지 않았던 점이 가장 큰 전염과 사망률을 나타낸 것으로 보입니다.
'이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tech)과 반발(backlash)의 합성 신조어 테크래시(techlash) (0) | 2021.07.21 |
---|---|
정치적 단어 '마타도어(matador)'의 뜻을 알아봅시다! (0) | 2021.07.20 |
실용성과 간결함을 원한다면 미드 센추리 모던 인테리어! (0) | 2021.07.19 |
우리의 가족 '반려 동물 등록' 꼭 하세요! (0) | 2021.07.19 |
새로 확산중인 코로나 관심 변이 '람다 변이' (0) | 2021.07.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