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와 주식회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식회사의 역사와 주식의 개념, 그리고 주식회사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주식회사가 왜 발달하게 되었는지, 주식회사의 경영이념의 변화는 어떻게 이뤄졌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회사의 역사
최초의 주식회사는 1602년 네덜란드에서 설립된 동인도 주식회사입니다. 동인도 주식회사는 각기 영국, 네덜란드, 벨기에에 존재했지만 이름은 같았기 때문에 같은 회사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동인도 회사는 바다를 건너 인도네시아(동인도)에 도착해 후추나 향신료를 수입하는 일을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과 달리 이전의 항해는 위험도 많았고 해적의 습격도 많아 배가 침몰이 되고, 돈을 벌지 못하는 경우도 허다했습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고안해 낸 것이 주식회사의 형태입니다. 시대의 특성상 부자들이 자신의 돈을 내어 배를 구하고 무역을 했지만, 잦은 사고로 인해 개인이 위험을 부담하기에는 무리였습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부자들이 각각 돈을 거둬 하나의 회사를 설립하여 항해를 계획했고, 개인으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비용 문제를 분산하여 위기를 해결하게 된 것입니다. 그 결과로 비용을 지불한 부자들에게는 주식을 발행해 주었고, 이 주식을 통해 비용을 지불한 비율에 따라 무역에서 얻은 이익을 분배받게 된 겁니다. 이것이 오늘날의 주식회사의 형태를 만들어낸 것입니다.
- 오랜 항해를 통한 이익에서 위험부담을 N/1로 감수하고, 그 이익의 형태를 투자 비율에 따라 N/1로 가져는 모습이 주식회사의 시초이다.
우리나라의 최초 주식회사
우리나라의 주식회사는 세계의 시장보다는 한참 늦은 1897년 한성은행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1960년대 이전에는 우리나라의 경제규모가 작다 보니 자본시장을 그리 크지 않아 주식회사의 형태보다는 부자의 투자형태로 회사나 일거리가 제공되었습니다.
주식회사의 경영이념
주식회사의 특징은 자본주의 시장에서 이윤의 극대화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제1의 이념이었습니다. 현재의 주식회사는 이윤의 극대화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경영을 중요시하게 되었습니다. 주주, 노동자, 공급자, 채권자, 소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만족과 더불어 ESG 경영을 통해 사회적 책임까지 맡게 된 것이 현대의 주식회사의 주요 경영이념이 되었습니다.
이윤의 극대화를 넘어선 ESG 경영
위에서 언급했던 내용처럼 주식회사의 목표를 이윤을 많이 남기는 것이지만 최근에는 기업의 역할을 통해 기술발전을 주도하고 국가 경제발전을 도모해야 하는 역할을 갖게 되었습니다. 하나의 기업이 아닌 고용창출과 가계 소득증대에 보탬이 됨으로써, 공생하는 경영이념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최근 ESG경영은 전 세계의 기업들의 우선순위의 원칙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환경, 사회, 책임을 질 수 있는 회사의 이미지를 통해 개인과 기업이 서로 성장할 수 있는 지속적인 발전의 형태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주식회사의 발전 요인
오늘날의 주식회사는 기본적인 회사의 형태로 자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존의 일반 회사와 달리 주식회사가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3가지 이유로 알아보겠습니다.
소액투자로 인한 대규모 자본 조달
주식회사는 주식을 통해서 기본적으로 자본을 조달받는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이때 주식은 비싼 돈이 아닌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돈을 많이 가진 소수의 사람이 아닌 소액투자를 통한 개인들의 대규모 투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업에 입장에서도 자본 조달의 이점을 살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큰 규모의 사업을 통해 이윤을 남기는 것이 자본주의 시장에서 살아남는 형태이기 때문에 대규모로 투자를 지원받을 수 있는 주식회사의 형태가 발전하게 된 것입니다.
투자자들에게 유동적인 시스템
주식의 가장 큰 장점은 언제든지 유통시장을 통해서 내가 가진 주식을 매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내가 필요할 때 사고팔 수 있다는 점은 투자자들에게 언제든지 자신의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자금의 사용을 계획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도 주주의 변화와 관계없이 주식이 계속해서 매도, 매입되기 때문에 자본적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는 개인과 기업의 입장을 서로 고려한 것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주식회사가 발전할 수 있는 이유가 된 것입니다.
전문경영인(CEO)의 등장
주식을 가진 주주의 권리는 자신이 보유한 주식의 한도 내에서 결정이 됩니다. 따라서 회사의 주식을 가진 많은 사람들을 대변하기 위해서는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생기게 된 것입니다. 결국 많은 투자자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전문적으로 경영을 배운 CEO의 등장을 통해 회사와 투자자들 모두의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투자자들은 CEO를 통해 자신의 투자금에 대한 효과적인 운영을 할 권리를 내세울 수 있고, 기업의 입장에서도 투자금을 잘 운영하여 기업의 자본을 늘릴 수 있는 CEO를 선임하여 서로에서 효과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카드 중도 해지 시 연회비 환급이 가능한 이유 (0) | 2021.08.26 |
---|---|
G-머니 경기도지역화페 소개 및 카드 발급법 (0) | 2021.08.24 |
급전 필요해서 해본 카카오뱅크 비상금대출 후기(+연장 조건 이자) (0) | 2021.08.04 |
청년 전세자금대출 의 모든 것 종류, 조건, 이자, 꼼꼼히 알아가세요! (0) | 2021.07.23 |
주식 채권 차이 주린이도 알기 쉬운 1분 정리 (0) | 2021.05.14 |
댓글